I-Laboratory 고주파회로교실 ~ RFDH version ~
[ V. Control Circuit ]


목차
1. Pin Diode
2. Switch  (1) 기본회로
                (2) 특성개선
                (3) SPDT Switch

2. Switch

(4) SPDT 특성개선

SPDT 역시 SPST와 마찬가지로 직렬과 병렬 PIN 다이오드를 혼합하면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그림 5-19>에 회로도와 각 다이오드의 상태도를 나타내었습니다.

신호의 흐름

D1

D2

D3

D4

PORT1 → PORT2

ON

OFF

OFF

ON

PORT1 → PORT3

OFF

ON

ON

OFF

<그림 5-19> SPDT Switch  (직렬 + 병렬)

이 회로에서 port 1에서 port 2로 신호를 전달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각 다이오드의 상태는 위의 도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림 5-20>에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5-20> SPDT Switch 의 특성  (직렬 + 병렬)

직렬 혹은 병렬만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현격하게 특성이 좋아졌습니다. 여기에 다이오드들을 더 추가하면 더더욱 좋은 격리도를 얻을 수 있지만, 늘 그랬듯이 그와 함께 삽입손실은 증가하게 됩니다.

실제 회로에서는 PIN 다이오드에 DC 바이어스가 실려야 하기 때문에, 바이어스 회로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또한 고주파 RF Switch는 스위칭 속도도 중요하기 때문에, 스위치 자체를 구동하는 회로의 설계도 중요합니다. PIN 다이오드의 회로나 구동회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서적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 3. 위상천이기 (Phase Shifter)    (1) 위상천이(Phase Shift)란?

Copyright by I-laboratory & RF designhous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