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rf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3개
게시물
651개

4/66 페이지 열람 중


RFDH Q&A 포럼 게시판 내 결과

  • RF 기초 강의실 책 재출간 언제 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새창

    해당 책이 보니까 중고서점 사이트나 중고 관련 카페 같은 데에서 구할 수가 없던 차에 사이트를 알게 되어서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2021년 하반기 개정판 출간 예정이라고 하는데 그 사이에 개정판 출간 후에 절판된 것인건가요? 아니면 아직도 출간 예정인가요?? 그리고 출간 예정이면 혹시 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소소리바람 2023-03-23 15:54:46
  • Re: RF 회로개념 잡기 - PART 2 ▶ Oscillator (발진기) 질문 새창

    안녕하세요 위상잡음 관련해서 문의를 주셨는데요... 수식보다는 개념이해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신호의 메인 주파수에서 크기(ampilitude)와 일정 주파수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크기(amplitude)의 차가 위상잡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어디를 기준으로 잡는지에 따라서 -70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70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앞에 설명에서는 절대값이라고 표현을 하고 있고요... 다음으로 kHz -> Hz로 변환을 해야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에서 설명하는 것은 스펙트럼분석기의 RBW의 대역폭을 말하고 …

    RAPA 2023-03-23 12:07:21
  • RF 회로개념 잡기 - PART 2 ▶ Oscillator (발진기) 질문 새창

    위상 잡음 설명 중에 Phase noise 규격(dBc/Hz) 의 수식 계산하는 과정 질문 입니다. 70dBc/1khz -> 100dBc/1hz 이 아니고 70dBc/1khz -> 40dBc/1hz 의 수식이 맞는 것 아닌가요? 70 + 10 log (1k) = 70 + 10 log (1000) 이 부분이 70 - 10 log (1k) = 70 - 10 log (1000) 이런 식으로 계산되어야 하는 것 아닌지 질문드립니다.

    en9u 2023-03-20 16:58:26
  • Re: RF Matching 질문 새창

    RF를 안한지 오래됐지만 답글이 없어서 올려봅니다. RF Coil Power Set이 송신하는 쪽인것으로 보이는데, 송신출력이 1000W일때와 다르게 2000W일때는 출력임피던스가 변할 걸로 보입니다. REF값이 어떤건지는 모르겠지만 1000W에 맞춰져 있다면, 2000W일때는 바뀐 임피던스에 맞춰서 다시 설정을 하던지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안녕하세요. > > 전자공학 쪽을 전공하지 않아, RF Matching 간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 > 실제 반…

    직선태양 2023-03-17 12:52:47
  • The basic of RF 안테나(5장 chapter10)질문 새창

    이 책 5장의 chapter10 안테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이 파트를 보면(사진 첨부함) System A의 변조신호가 System B에서 detect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 책에서는 System A와 System B 모두 순수한 sin 파형을 내보내고 있고, 두 beam의 겹치는 부분의 변조를 system B가 감지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그림에서 나타낸 것처럼 원격으로 변조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지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System A의 beam 영역 안에 System B 안테나가 위치해야 수신이 가…

    eogkrdnjstod 2023-03-13 15:10:58
  • RF Matching 질문 새창

    안녕하세요. 전자공학 쪽을 전공하지 않아, RF Matching 간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실제 반도체 Wafer process 진행 간, RF Coil Power set 값이 1000W일 경우에는 REF 값이 현업 SPEC IN 수준으로 안정 수준으로 되는데, 2000W를 쏘면, ref 값이 크게 튑니다. 가해지는 Power가 다르기 때문에 ref 값이 변하게 되는 걸까요?

    반도체엔지니어 2023-03-10 05:05:55
  • Re: pcb에 인쇄된 형태의 RF 인덕터가 있나요? 새창

    RF FEM(Front End Module)에는 PCB Inductor가 들어갑니다. 이유는 여러가지 인데 Top면 SMT 공간이 부족하거나 Cost 문제이거나 모듈 Size를 줄이기 위해 여유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또는 Saw Baw 같은 필터 Circuit 구성을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PCB 자체는 원래 오차가 크고 높은 Inductance는 구현하기가 공간상으로 힘듭니다. 좋은 PCB 업체에 오차가 작은 공법을 이용하면 오차 재현성 문제는 해결 가능합니다. > > > 안녕하세요 &…

    RF초짜 2023-02-08 21:10:22
  • Re: RF 무선 통신 시 확인해야 하는 측정 요소 문의드립니다. 새창

    안테나 이득은 OTA 챔버 테스트로 측정 가능합니다 > > > 답변 감사드립니다. > 전원 잡음은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만, 안테나 이득은 어떤 장비로 측정이 가능할까요? 추가로 그래도 NF값 측정을 하려고 한다면 스펙트럼 분석기로 측정 하는 것이 맞을까요? > > > > > > > BT Chip 이외에 다른 능동소자가 없다면, Gain과 NF는 의미없겠고 > > 전원 잡음과 안테나 이득을 측정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RF 2023-02-06 09:59:22
  • Re: Re: RF 무선 통신 시 확인해야 하는 측정 요소 문의드립니다. 새창

    답변 감사드립니다. 전원 잡음은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만, 안테나 이득은 어떤 장비로 측정이 가능할까요? 추가로 그래도 NF값 측정을 하려고 한다면 스펙트럼 분석기로 측정 하는 것이 맞을까요? > > > BT Chip 이외에 다른 능동소자가 없다면, Gain과 NF는 의미없겠고 > 전원 잡음과 안테나 이득을 측정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 > > > > > 현재 2.4GHz~2.48GHz(블루투스대역) 에 관하여 무선 통신 회로…

    RF애기 2023-02-02 16:19:21
  • Re: RF 무선 통신 시 확인해야 하는 측정 요소 문의드립니다. 새창

    BT Chip 이외에 다른 능동소자가 없다면, Gain과 NF는 의미없겠고 전원 잡음과 안테나 이득을 측정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 > 현재 2.4GHz~2.48GHz(블루투스대역) 에 관하여 무선 통신 회로 검증 중에 있습니다. > 무선 통신 관련하여 VSWR값, 임피던스값(50옴) 이 두 가지의 측정 요소는 중요 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VSWR값, 임피던스값을 네트웤으로 얼추 맞췄음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 연결이 계속 불안정합니다. 혹시 무선통신 관련하여 다른 측정 요소가 있을지 문…

    풀그림RF 2023-02-02 12:28:00


접속자집계

오늘
1,077
어제
1,368
최대
1,688
전체
926,641
그누보드5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