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50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개
게시물
468개

3/47 페이지 열람 중


RFDH Q&A 포럼 게시판 내 결과

  • RF 50옴 매칭 방법에 대한 문의 드립니다. 새창

    안녕하세요~ RF관련 업무 종사자인데, 회로도를 공부하다 보면 잘 이해 안 가는 부분들이 있어서 여기에 문의드립니다. 선배님들도 대부분 그동안 그래왔기 때문에 그랬다고 하시고 정확한 이유를 잘 모르시는거 같아서요. 1. 50옴 매칭 시 2단 (L자) 매칭을 쓰는 경우와 3단 (T,파이) 매칭을 쓰는 경우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제가 아는 바는 배치공간, 가격, 대역폭 이 다르다고 들었는데 그 외 차이점이 있을까요? (매칭 포인트에 따라서 3단 매칭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잘 이해가 안 갑니다. 실수부가 50옴 이상을 경…

    RF초보 2019-07-08 12:54:42
  • Re: Re: UWB RF시험 출력 기준 단위... W/50MHz란? 새창

    dbm/Hz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dBm/Hz = dBm ? 10*log10(RBW*) 여기서 rbw는 resoultion bandwidth를 말합니니다. 첨두전력은 영어로 peak power 입니다. 측정하시는 장비가 modulated signal(변조 신호)을 사용하는 장치 혹은 시스템이라면 변조신호는 평균전력과 피크 전력이 있습니다.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380 어떤 장비를 이용해서 전력을 측정하시는지 알려주시면 평균전력과 peak전력을 어떻게 측정할수 있…

    반전공자 2018-07-07 07:27:16
  • Re: UWB RF시험 출력 기준 단위... W/50MHz란? 새창

    dBm/MHz --> dBm/1MHz dBm/50MHz이면 50MHz 안의 파워를 말하는것 같네요. 스펙트럼이면 채널파워 측정이 가능했던것 같네요. > > > 안녕하세요. RF 시험소에 근무 중인 사람입니다. > > 식견이 넓지못해 이번에 UWB 제품 시험을 의뢰받았는데요 > > 합격 기준에 평균 전력이 -41 dBm/MHz...이건 알겠는데 > > 첨두전력이 0 dBm/50MHz 라는 단위가 있더라고요? > > 이게 dBm/MHz랑 어떻게 다른건…

    jjh 2018-07-05 21:47:19
  • UWB RF시험 출력 기준 단위... W/50MHz란? 새창

    안녕하세요. RF 시험소에 근무 중인 사람입니다. 식견이 넓지못해 이번에 UWB 제품 시험을 의뢰받았는데요 합격 기준에 평균 전력이 -41 dBm/MHz...이건 알겠는데 첨두전력이 0 dBm/50MHz 라는 단위가 있더라고요? 이게 dBm/MHz랑 어떻게 다른건지... dBm/MHz는 스펙트럼에서 1MHz로 놓고 보거나 파워 측정으로 보곤 했었는데 dBm/50MHz는 어떻게 재야 하는지...? 스펙트럼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고수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딩딩딩 2018-07-05 18:14:45
  • Re: ADS 에서 temperature 기능이 먹히지 않는 듯 합니다. (온도를 500도로 해도..) 새창

    500도에서 측정한 S-parameter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시뮬레이터는 온도변화에 따른 변화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 > > ADS 에서 temperature 기능이 먹히지 않는 듯 합니다. > 온도를 500도로 설정해서,, 변화가 없습니다. > (S-파라미터 온도를 변화시켜서 SI를 해본 결과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 option에서 도 설정해 보았습니다. > >

    jjh 2018-06-29 11:08:35
  • ADS 에서 temperature 기능이 먹히지 않는 듯 합니다. (온도를 500도로 해도..) 새창

    ADS 에서 temperature 기능이 먹히지 않는 듯 합니다. 온도를 500도로 설정해서,, 변화가 없습니다. (S-파라미터 온도를 변화시켜서 SI를 해본 결과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option에서 도 설정해 보았습니다.

    궁금이 2018-06-23 18:16:33
  • Re: PCB 설계할때 50옴 라인과 그라운드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정해지는지요? 새창

    윗분 말대로 50옴 라인의 3배 이상 띄워도 되지만 주파수가 C Band 이하이고 신호의 크기가 수 W 미만이라면 GND와의 거리는 50옴 라인 두께 보다 조금 더 작아도 임피던스 차이는 거의 미비 합니다. 질문하신 것과는 별개의 답변으로 RF PCB는 주로 FR4 또는 Teflon 기판을 사용하고 유전체 사양에 따라 50옴 라인 폭은 1~3mm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만약에 집중소자를 사용하는 패시브 및 액티브를 설계할때 사용할 집중소자의 크기만큼 GND와의 거리를 조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2…

    SC 2018-05-21 21:35:26
  • Re: PCB 설계할때 50옴 라인과 그라운드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정해지는지요? 새창

    Rules of thumb으로 50 ohm trace 선 폭의 3배 이상 띄워주면 됩니다. 그러면 trace와의 커플링은 대부분의 바닥쪽으로 이루어지고 옆으로는 영향이 1% 미만 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넓게 띄우면, 옆에 그라운드 가드를 할 이유가 무색해지겠지요. 결국 trace 가까이로 그라운드를 접근시키면 trace와 커플링이 발생되고 trace의 임피던스를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를 50 ohm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trace 선 폭을 줄여주어야 합니다. 이것은 쉽게 계산으로 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서기 대문에 2D …

    김선환 2018-05-15 10:07:27
  • PCB 설계할때 50옴 라인과 그라운드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정해지는지요? 새창

    안녕하세요. RF초짜 입니다. 정말 궁금해서 인터넷을 찾아봤는데도, 정확한 자료를 찾지 못하겠네요. 50옴 라인의 선폭은 인터넷에 있는 무료 계산사이트를 통해 계산하면 되는데, 50옴 라인과 그라운드까지의 거리는 최소 얼마 이상되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상적인 Microstrip line은 원래 그라운드가 없어야 하지만, 실제 pcb 설계에서는 내부 격벽등 불가피하게 그라운드가 존재할 수 밖에 없지 않나요? 이때 거리를 얼마나 잡아야 할까요?

    RF초짜 2018-05-14 10:23:35
  • Re: Re: wageguide 50옴 텀 새창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설명까지. (_ _) 홈페이지 들어가보니, 여러가지 솔루션을 많이 보유하셨네요. 사업 번창하시길 바랍니다. > > > 간단히 답변 드립니다. > 그림과 같은 옵서버를 도파관 맨 안쪽에 위치시켜야 term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 기성품으로 판매하는 것도 있고, 특정 재질의 term을 특정 크기로 설계하여 도파관 안쪽에 붙여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CST, HFSS 등으로 설계 가능) >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우돌이 2018-04-02 11:00:35


접속자집계

오늘
2,053
어제
2,593
최대
2,593
전체
944,303
그누보드5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