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rf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3개
게시물
652개

17/66 페이지 열람 중


RFDH Q&A 포럼 게시판 내 결과

  • Re: RF 인가장비 및 Amp 장비 취급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새창

    function generator 와 high power amplifier 중에 어떤 것이 망가지셨나요? 메인 트렌지스터가 망가지셨다고 하셨으니 저의 추측으로는 power amplifer가 망가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power amplifer가 망가지셨다는 가정하에 몇가지 문제의 이유를 가정하자면, 1)power amplifier의 DC bias가 적정했는가 2)함수 생성기의 출력이 power amplifier의 입력에 적절했는가 3)power amplifier의 출력이 Micro-fluid chip에 적절히 연결되었는가 등이 …

    전문가 2019-10-29 08:59:28
  • RF 인가장비 및 Amp 장비 취급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새창

    안녕하세요 RF에 대해서 공부하고 세포에 대해서 여러실험을 진행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을 진행함에 있어서 장비 고장문제로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실험환경은 RF (10 MHz ~ 500 MHz) 의 신호를 function generator와 high power amplifier를 이용해서 출력을 받아 Micro-fluid chip에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고 있구요.. 앰프와 함수발생기를 수리 및 진단을 해보면 항상 전압 과부하로 인해서 메인 트랜지스터가 망가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가장비 스펙상 장비가 버틸수 …

    세프제 2019-10-28 22:49:26
  • Re: RF Power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새창

    1MHz당 10dBm이고 10MHz의 BW를 가진 신호라면 산술적으로 10dBm*10=20dBm입니다. 위의 관계가 이해안가시면 질문 주세요. CW와 LTE신호의 Power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라는 질문은 너무 포괄적이라 답을 드릴수 없습니다. 단 일반적인 변조신호의 파워에 대해 설명해 드리자면 average power와 peak power가 있고 이 둘의 비를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라고 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변조신호의 power를 말할때는 average power를 말하지만…

    전문가 2019-10-22 12:16:52
  • RF Power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새창

    안녕하세요? RF를 공부하다보니 기초인데..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1. LTE 10MBW 신호를 보다보니 어떤 문서에 출력 파워를 +10dBm/1MHz 이렇게 표시를 해놨습니다. 그럼 10MBW의 총 Power 계산은 어떻게 하는걸까요? ㅠ 갑자기 머리가 굳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2. 한가지 더 궁금한게 있는데 CW와 LTE신호의 Power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CW출력이 +10dBm이라면 이 신호를 LTE10MHz라고 가정했을 때는 Power가 어떤식으로 변환이 되는건지 궁금…

    RF기초 2019-10-18 16:09:38
  • Re: Re: Re: RF Generator 출력 임피던스 (output impedance) 측정. 새창

    주파수가 10MHz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피막저항이나 탄소(솔리드)저항은 유도성분을 무시해도 별 지장이 없습니다. 물론 출력임피던스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하신다면 고려할 사항이 많아지지만.. 단 권선저항은 무유도형이라도 주파수가 10kHz를 초과하면 비추 입니다. 구체적인 주파수와 추정되는 출력값을 밝혀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 아래 친절한 설명감사드립니다. > > 아래 설명해 주신 것은 순수한 저항성분일때 가능한 것으로 알고…

    나도초보 2019-10-08 20:51:29
  • Re: Re: RF Generator 출력 임피던스 (output impedance) 측정. 새창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래 친절한 설명감사드립니다. 아래 설명해 주신 것은 순수한 저항성분일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RF쪽에는 A+jB 성분으로 표현이 되는 것같은데, 이때에도 동일한것인지요? Class-D amp 출력은 사각파형에 가까운데 이 전압 파형의 반이 되는게 출력 임피던스인가요? 회신 고맙습니다. > > > 질문하신지 한참되지만 참고로 적습니다. > 다른 회원님께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요 > > MHz대역의 초음파는 용도에 따라 다…

    낭만불독 2019-10-07 13:32:59
  • Re: RF Generator 출력 임피던스 (output impedance) 측정. 새창

    질문하신지 한참되지만 참고로 적습니다. 다른 회원님께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요 MHz대역의 초음파는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출력이 꽤나 클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 출력이 조정가능하면 출력을 낮춘상태(1W정도 추천)에서 1. 출력단자를 개방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출력전압을 측정합니다. 2. 적당한 저항(가능하면 피막형 3W, 권선형은 불가)을 출력단에 연결하고 저항양단의 전압을 측정합니다. 3. 저항양단의 전압이 개방할때 전압의 1/2 이면 그때의 저항값이 내부 출력임피던스값 입니다. 참고 하세요 > …

    나도초보 2019-09-22 12:30:38
  • 무선충전 또는 RFID에서 코일 근거리 데드존 문의 새창

    무선충전 또는 RFID에서 두 코일사이의 거리가 아주 가까울 경우 동작을 못하는 데드존이 발생하는데 기술적으로 설명이 가능한가요?? 예를 들면 코일간 거리가 2mm에서는 동작가능하지만 완전 밀착 또는 1mm에서는 동작이 안되는 경우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심야 2019-09-19 10:08:41
  • RF 기초 질문드립니다!! 새창

    우선 RFDH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RF에 대해 전혀 모르다가 갑자기 관련 업무를 받게되어서요.. RFDH에서 기초적인 지식을 많이 얻어가고 있어요! VNA에서 LCL과 LCTL값을 측정을 하는데 LCL은 Sdc11, Sdc22 (입력단에서의 변환 손실) LCTL은 Sdc21, Sdc12 (출력단에서의 변환 손실) 이잖아요... 변환손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왜 변환이 되는지,, 어떻게 변환이 되는지,,) Common mode와 Differential mode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는 분이…

    RF병아리 2019-08-23 11:34:26
  • RF Generator 출력 임피던스 (output impedance) 측정. 새창

    안녕하세요, RF고수님들. 저는 전자로 밥먹고사는 개발자입니다. 목적은 ultrasound이고, MHz대의 신호를 만들다보니 임피던스 매칭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한 RF 관련 무지한 사람입니다. RF Generator는 Class-D를 이용해서 만들수가 있는데, 문제는 발진소자와 임피던스를 매칭입니다. RF Generator의 출력 임피던스를 알아야 매칭이 가능할 것같은데, 출력 임피던스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 가르침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낭만불독 2019-08-13 13:43:02


접속자집계

오늘
1,989
어제
2,593
최대
2,593
전체
944,239
그누보드5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