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rf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3개
게시물
651개

10/66 페이지 열람 중


RFDH Q&A 포럼 게시판 내 결과

  • 시뮬레이션 통해서 만든 rf 안테나를 제작하는 업체 새창

    안녕하세요 대학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CST 이용해서 microstrip antenna (약 2.8GHz에서 동작)를 디자인하였는데 rogers RT6010 기판 위에 copper패턴이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기판 사이즈는 20mm*20mm*1.27mm정도이고 구리두께는 0.018mm정도) 샘플을 만들어보고 S파라미터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제작이 가능한 업체가 어디 있을지 궁금해서 글을 올립니다.

    학생 2021-05-31 18:14:14
  • Re: VNA 및 Spectrum 등 RF 측정 장비 사용 교육 및 실습 교육을 진행하는 곳이 있을까요? 새창

    어느정도 수준을 생각하시는 건지 모르겠는데...주변에 무선설비 학원 있으면 배울 수 있을거 같아요. 계측기 회사에서도 가끔 교육하는데 그거는 너무 가끔일 거 같고 사용법은 유튜브에도 많이 나올겁니다. > > > 관련 교육 수강하고 싶은데 혹시 정보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 무료 유료 상관없습니다 > > RFgoogle도 있긴한데 거긴 너무 비싸서,. > >

    sdfasd 2021-05-28 15:34:35
  • VNA 및 Spectrum 등 RF 측정 장비 사용 교육 및 실습 교육을 진행하는 곳이 있을까요? 새창

    관련 교육 수강하고 싶은데 혹시 정보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무료 유료 상관없습니다 RFgoogle도 있긴한데 거긴 너무 비싸서,.

    김진욱 2021-05-27 18:18:35
  • Re: microstrip line 상에서 LPF로 설계한 필터들이 BRF처럼 작동하는 이유 새창

    넓은 대역으로 보니 또 다른 공진이 보여 밴드리젝션 필터로 동작한다고 말씀하신거 같습니다. 가장 쉽고 짧게 말씀드리면 SRF (자기공진 주파수)의 영향으로 보면 될거 같습니다. L 또는 C소자 하나만 봐도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S21보면 L이 C로 동작합니다. 잘못 설계된 LPF가 아닌 맞게 설계된 필터 맞습니다. > > > 체비셰프 응답을 이용해 LPF로 설계한 여러가지 필터들이 고주파로 가면서 다시 필터링 특성이 사라지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면 마치 Band Rejection Filte…

    안테나맨 2021-05-22 22:12:37
  • microstrip line 상에서 LPF로 설계한 필터들이 BRF처럼 작동하는 이유 새창

    체비셰프 응답을 이용해 LPF로 설계한 여러가지 필터들이 고주파로 가면서 다시 필터링 특성이 사라지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면 마치 Band Rejection Filter처럼 동작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microstrip low pass filter를 공부하고 있는데 어떤식으로 설계해도 넓은 주파수에서 보면 꼭 Band rejection의 형태로 나타나더군요 ㅜㅜ 원래 이런것인지 설계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동근 2021-05-20 09:33:14
  • RF 도서구입 새창

    RF를 기초부터 공부하고 싶은데 시중에 The basic of RF 도서가 없습니다. 구매 방법 좀 알려주세요

    kjk 2021-05-19 17:00:13
  • Re: RF시스템에서 50옴매칭 전력 관련 질문입니다. 새창

    Source측 내부에서 전부 열로 소모됩니다. 출력이 큰 증폭기에 방열판이 있는 이유입니다. > > > 안녕하세요? RF시스템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 > RF시스템을 공부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 >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source의 전력을 부하쪽으로 최대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 > 근데 50옴 매칭을 해서 전력을 계산해보면 입력전력에 대해 절반은 소스 임피던스에서 소모되고, 절반만 부하에 전달되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g…

    나도초보 2021-04-12 14:29:48
  • RF시스템에서 50옴매칭 전력 관련 질문입니다. 새창

    안녕하세요? RF시스템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RF시스템을 공부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source의 전력을 부하쪽으로 최대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50옴 매칭을 해서 전력을 계산해보면 입력전력에 대해 절반은 소스 임피던스에서 소모되고, 절반만 부하에 전달되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최대 전력을 전달할 때 부하에 절반을 전달할 수 있다에 대한 내용은 정말 많은데 나머지 절반은 어느부분에서 어떤 방식으로 손실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찾을 수 없어서 의문점이…

    jjjj 2021-04-09 20:26:38
  • RF DUMMY 종단 연결 시 방사 신호 레벨 문의 새창

    안녕하세요. RU Ant에 250W 40dB 더미를 물려 놓고 있는데요. RU 출력은 40dB 입니다. 그럼. 0dB가 방사되나요? 안테나가 아니니 방사 손실은 많고 ? 얼마가 될지 모르겠지만. 250W까지 결딜수 있는 더미이고 40dB 신호 감쇠 시킬수 있는 더미이다 . 이렇게 되는건가요? 그럼. 0dB 출력은 어쨌든 방사가 되는건가요? RETURN 되는 건가요? DUMMY 에 접지하면 방사되는 신호가 없을까요?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확인 부탁드리옵니다. 미리미리 감사하옵나이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dummy 2021-03-29 15:21:36
  • Re: Re: Re: Re: Re: 점점 더 RF 대역을 사용하는 이유? 새창

    주파수와 지연속도의 관계가 있나요? 어차피 전자기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 3*10^8m/s으로 상수인데?? 제가 알기론 지연속도는 하드웨어의 컴팩함과 네트웨크의 최적화에 달려있습니다. > > > 1번 답변에 조금 더 보충하자면 > 주파수가 높으면 초저지연(빠른 응답속도)이 가능합니다 > > 지연에 관해 알기 쉽게 컴퓨터를 예로 들면.. > HDD와 SDD가 같은 최대 전송속도 150MB/s (RF 예로 들면 대역폭)라고 해도 > 실제 체감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 HDD …

    잘은모르지만 2021-03-06 04:38:2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